언론보도

제목 항원 접촉 없이도 면역력 갖추는 선천성 T세포 분화과정 밝혔다
작성일 2020-08-31 조회수 6138
작성자 관리자

항원 접촉 없이도 면역력 갖추는 선천성 T세포 분화과정 밝혔다

포항공대·DGIST "같은 사이토카인 분비하는 아형 면역 치료에 활용 기대"

 

항원인 병원균과 접촉하지 않고도 면역력을 갖추는 '선천성 T세포'의 분화 과정이 밝혀졌다.

한국연구재단은 포항공과대학교 이유정·김상욱 교수,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김종경 교수 연구팀이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연세의료원 연구팀과 공동으로 선천성 T세포 발달과정을 규명했다고 31일 밝혔다.

면역 T세포는 이전에 겪었던 병원균을 기억해 다음에 같은 병원균에 노출됐을 때 신속하게 반응할 수 있는 기억세포로 분화한다.

10여종의 다양한 아형(subtype)이 존재하는데, 최근 밝혀진 '선천성 T세포'는 항원을 만나기 전에도 기억세포로 분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사람과 생쥐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자연살해 T세포', 'MAIT 세포', '감마델타 T세포' 등 세 가지 선천성 T세포의 발달과정을 단일세포 유전체 분석 기법을 통해 관찰했다.선천성 T세포는 전체 면역 T세포의 20∼30%를 차지하나, 그 생성과정이나 역할은 알려지지 않았다.

그 결과 서로 다른 발달체계와 기능을 가질 것이라 생각했던 이들 세포가 각각의 전구체로부터 발달하는 경로가 같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은 각각 인터페론 감마, 인터류킨-4, 인터류킨-17 등과 같은 사이토카인(cytokine·신체의 면역 체계를 제어하고 자극하는 신호물질)을 분비하는 아형들로 분화했다.

분석 결과 인터페론 감마를 분비하는 자연살해 T세포는 인터류킨-4와 인터류킨-17을 분비하는 동일 집단 내 아형보다 인터페론 감마를 분비하는 MAIT 세포, 감마델타 T세포와 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살해 T세포는 생쥐에, MAIT 세포와 감마델타 T세포는 사람에게 많다.

생쥐 실험을 통해 인터페론 감마를 분비하는 자연살해 T세포가 바이러스나 세균, 암세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하지만 사람에게는 자연살해 T세포 수가 적어 동일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웠다.

이번 연구를 인터페론 감마를 분비하는 MAIT 세포나 감마델타 T세포를 대상으로 한 면역 치료제 연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이날 자에 실렸다.

 https://www.yna.co.kr/view/AKR20200831053500063?input=1195m

다음글
이전글